피내용 BCG 백신 접종 후 생기는 피부 변화, 이게 정상일까요? 육안으로는 부작용처럼 보이지만 시기별로 정상적인 반응일 수 있습니다. 실제 사례와 함께 사진 흐름까지 정리했습니다.
피내용 BCG 백신 접종 후, 시기별 사진과 비교 정리
피내용 BCG는 결핵을 예방하기 위한 백신으로, 피부 안쪽에 주사하는 방식으로 투여됩니다. WHO와 국내 질병관리청은 피내용 방식이 더 정확한 용량을 전달할 수 있다고 권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피내용 BCG는 접종 직후부터 약 1년간 피부 반응이 천천히 진행되며, 이 과정에서 생기는 변화들이 부모 입장에선 부작용처럼 느껴질 수 있어요. 저도 처음에는 아이의 접종 부위에 뾰루지 같은 것이 생겨 너무 놀랐습니다. 하지만 병원에서 받은 안내문과 설명을 통해 그 변화가 정상적인 경과임을 알게 되었고, 마음이 한결 놓였던 기억이 납니다.
🍼 접종 직후~1주: 부풀었다가 사라짐
접종 당일에는 주사 부위가 약간 부풀어 오르기도 하고, 물방울처럼 보여 불안할 수 있어요. 하지만 대부분 30분 내로 가라앉습니다. 우리 아이도 마찬가지로 접종 후 붉게 부풀었지만 곧 사라져 처음엔 별일 아닌 줄 알았어요. 이 시기의 변화는 매우 경미하므로 특별한 처치는 필요 없습니다. 손으로 만지거나 소독제를 바르는 행동은 오히려 감염 위험을 높일 수 있어 주의해야 해요.
😨 2주~6주: 결절, 고름, 딱지 형성
피내용 BCG 접종 후 가장 놀라는 시기는 바로 이때입니다. 처음에는 붉은 결절이 생기고, 이후 중심이 뭉그러지며 고름이 잡히기도 하죠. 저는 이때 너무 놀라 소아과에 다시 방문했는데, 의사 선생님께서 "피내용 BCG 백신의 전형적인 반응"이라며 웃으시더라고요. 4~6주 차에는 고름이 터지며 삼출물이 배출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흰 딱지나 궤양처럼 보이는 변화가 발생합니다. 이때는 절대로 짜거나 만지지 말고, 자연스럽게 아물도록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 6주~12주: 딱지 떨어지고 반흔 남음
시간이 지나면 고름이 마르고 딱지가 형성됩니다. 이 딱지는 서서히 떨어지면서 접종 자리에 작은 흉터처럼 보이는 반흔이 생깁니다. 많은 엄마들이 이때 "상처가 곪은 것 같아요"라고 걱정하시는데요, 실제로는 이 반응이 피내용 BCG 접종의 정상적인 치유 단계입니다. 저희 아이는 딱지가 떨어지기까지 약 9주 정도 걸렸고, 이후에는 작고 뽀얀 흉터만 남았습니다. ⏱
접종 1년 후: 작고 둥근 반흔 남음
접종 1년이 지나면 흉터는 점점 연해지고 피부색과 유사해지며, 결국 작고 둥근 반흔만 남게 됩니다. 물론 체질에 따라 반흔이 두드러지게 남는 아이도 있어요. 하지만 전체적인 경과가 정상이었다면, 이러한 흉터는 결핵 예방을 위한 중요한 '표식'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저는 아이의 팔에 남은 작은 원형 자국을 볼 때마다 "이때 아기가 얼마나 작았지"라는 생각이 들어, 오히려 고맙고 기특한 느낌이 들더라고요.
피내용 BCG 흉터가 안 생길 수도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흉터가 안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피내용 BCG는 피부 안쪽에 소량의 백신을 주입해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방식인데요, 개인의 피부 반응에 따라 흉터가 아주 작거나, 거의 보이지 않게 남을 수도 있어요. 하지만 그렇다고 효과가 없는 건 아니에요! 흉터는 단지 반응의 흔적일 뿐, 면역 형성은 이미 내부적으로 잘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대로 너무 심한 흉터가 남았다고 해서 면역이 더 강해지는 것도 아니고요. 만약 접종 기록이 없고 흉터도 없다면, 의료기관에 확인해 보는 것이 좋아요. 특히 해외에서 BCG를 맞았거나, 이중 접종 여부를 모를 경우엔 결핵 검사(TST, IGRA)를 통해 항체 형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답니다.
피내용 BCG 접종 관련 FAQ
Q1. 피내용 BCG 부작용은 언제까지 지속되나요?
피내용 BCG 접종 후 나타나는 피부 변화는 대개 접종 3개월 이내에 딱지가 떨어지고 반흔만 남는 것으로 경과합니다. 하지만 일부 아이들은 접종 후 6개월 이상 반흔이 짙게 남거나, 주변 림프절이 붓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병원 진료를 통해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Q2. 피내용 BCG 접종 부위에서 진물이 계속 나와요, 괜찮은가요?
접종 4~6주 사이에 고름이 생기고 터지며 진물이 나오는 것은 정상적인 반응입니다. 다만, 진물이 2주 이상 계속되거나, 주변 피부가 붓고 열감이 동반된다면 감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소아과나 피부과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Q3. 피내용 BCG 접종 부위를 소독하거나 연고를 발라도 되나요?
아니요. 소독제나 연고 사용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BCG 백신은 자연 치유를 통해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백신이므로 손대지 않고 건조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상처처럼 보여도 일부러 건드리거나 관리할 필요가 없습니다.
Q4. 피내용 BCG 접종 후 물집이 생겼는데 터져도 괜찮나요?
접종 후 2~6주 사이에 물집 또는 농포(고름물집) 형태가 생겼다가 자연스럽게 터지는 것은 정상입니다. 절대로 일부러 짜거나 터뜨리지 말고, 깨끗하고 마른 상태를 유지해 주세요. 감염 예방을 위해 옷이 접종 부위에 계속 문지르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합니다.
Q5. BCG 접종 흉터가 너무 크게 남았어요. 흉터 치료가 가능한가요?
일반적으로 피내용 BCG 흉터는 시간이 지나면서 흐릿해지지만, 체질에 따라 켈로이드나 비후성 반흔처럼 크게 남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 피부과에서 레이저 치료나 흉터 완화 크림 등으로 개선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건강상의 문제는 없으며, 흉터가 예방접종을 증명하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피내용 BCG 접종 후 나타나는 피부 변화는 대부분 정상적인 면역 반응의 일환입니다. 부작용처럼 보여 걱정되더라도 시기별 경과를 알고 있다면 불안함을 줄일 수 있어요. 나와 아이의 경험을 바탕으로, 부모님들께 작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