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렴은 폐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기침, 가래,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폐렴은 예방접종을 통해 예방할 수 있으므로, 대상자는 적절한 시기에 접종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 페이지에서는 폐렴의 원인과 증상, 폐렴예방접종에 대해 안내합니다.
폐렴 원인과 증상, 폐렴 예방접종 안내
폐렴은 폐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이 원인이 됩니다. 폐렴은 전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특히 노인, 면역력이 약한 사람, 만성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서 발생률이 높습니다. 최근 중국에서 미확인 폐렴이 번지고 있어서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폐렴 원인
폐렴(pneumonia)은 주로 감염, 세균, 바이러스 또는 기타 마이크로생물에 의한 폐의 염증으로 인한 호흡기 질환입니다.
- 세균 감염: 세균성 폐렴은 세균이 폐에 침입하여 감염을 일으키는 경우입니다. 스트렙토코커스 폐렴니아,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레지오넬라 등이 세균성 폐렴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바이러스 감염: 바이러스성 폐렴은 주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호흡기 소아마비 바이러스(RSV), 구토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진균 감염: 흡인 또는 직접 피부 접촉을 통해 공기 중의 진균이 폐에 침입하여 감염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 기타 감염성 요인: 폐렴의 원인으로는 세균과 바이러스 외에도 마이코플라즈마, 산화석회, 알레르기 반응, 노출된 화학 물질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 폐조직 손상: 폐조직이 직접 손상되는 경우에도 폐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위 "화학적 폐렴"이라고 알려진 폐조직에 유해한 화학 물질의 노출로 인한 경우가 있습니다.
- 기타 요인: 기저질환 (만성 폐쇄성 폐질환, 심부전, 당뇨병 등), 나이, 흡연, 알코올 남용, 면역기능 저하 등도 폐렴 발병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일 수 있습니다.
폐렴 증상
- 기침: 흔히 진해지고 녹색 또는 노란색의 가래를 동반합니다.
- 호흡곤란 또는 숨쉬기 어려움: 폐의 염증으로 인해 공기가 정상적으로 흡수되지 않아 호흡곤란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가슴 통증 또는 흉통: 가슴의 한쪽이나 양쪽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때로는 호흡 시 느껴질 수 있습니다.
- 열감(고열): 고체일 수도 있고 갑자기 나타나거나 서서히 올라갈 수 있습니다.
- 오한과 발한: 체온 조절이 어려워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피로감과 권태감: 감염과 싸우기 위해 몸이 에너지를 소모하면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인후통 또는 목의 통증: 감염이 인후 부분으로 확산될 경우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구토 또는 설사: 어린이나 노인에서는 위장 장애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노인, 어린이, 면역기능이 저하된 개인 또는 기저질환을 가진 사람들은 폐렴이 더 심각한 문제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만약 흉통이 심하거나 청색증(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서 혈액이 산소를 부분적으로 잃게 되어 피부나 점막이 푸른색조로 나타나는 증상)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고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신속한 치료는 폐렴의 효과적인 관리에 중요합니다.
폐렴 예방접종 대상과 예방접종 안내
매년 폐렴으로 10만 명당 9.5명 꼴로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어린 영아나 65세 이상의 노인의 경우에는 폐렴은 치명적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사전에 대비하여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맞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폐렴 예방접종은 영아, 노인, 만성 기저 질환 보유자에게 권고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중국에서 미확인 폐렴이 번지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기 때문에 최근 5년간 폐렴 예방접종을 맞지 않았다면 항체역가가 감소 또는 사라졌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모두 대상이 되겠습니다. 폐렴구균 예방접종은 의료기관에서 상담 후에 진행되며, 아래에 따라 접종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 23가 다당 백신(PPSV23): 65세 이상 노인, 소아, 청소년, 성인
- 단백결합 백신(PCV13): 영아, 기저 질환 보유자
폐렴구균 감염 발생빈도가 높은 65세 이상 노인은 무료접종(23가 다당백신)이 가능하며, 그 외 대상자는 지역별, 의료기간마다 가격이 다르니, 아래 링크에서 [지역] 기입→[예방접종료] 클릭→[상세분야] 클릭 순서로 버튼을 클릭하여 폐렴구균 예방접종 가격을 조회해 보시기 바랍니다.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맞은 후에 이상반응이 나타나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대표적으로 발생하는 이상반응으로는 예방접종 부위 통증이나 부종, 발적과 발열등으로 미세한 반응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상반응이 이후에도 계속 보인다면 의료기관에서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폐렴구균 백신은 생후 2개월부터 접종할 수 있으며, 65세 이상 성인은 10년마다 1회 접종을 권장합니다.
폐렴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질환이므로, 폐렴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폐렴 예방접종을 통해 폐렴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대상자는 적절한 시기에 접종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